자동차 종합검사 대상, 예약 방법, 과태료 안내 총정리

자동차 종합검사 대상, 예약 방법, 과태료 안내 총정리
자동차 정기검사·종합검사 안내|과태료·예약방법 총정리

🚗 자동차 종합검사 & 정기검사 필수 안내

검사 기한을 놓치면 최대 60만 원 과태료와 운행 정지까지 처분될 수 있습니다.

자동차 종합검사 제도란?

자동차 종합검사는 기존에 나눠져 있던 여러 검사 항목을 통합하여 한 번에 진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도입니다. 주요 검사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자동차 정기검사 (자동차관리법 제43조)
  • 운행차 배출가스 정밀검사 (대기환경보전법 제63조)
  • 특정경유자동차 배출가스 검사 (대기관리권역 특별법 제26조)

즉, 안전 확보와 환경 보호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제도라 할 수 있습니다.

종합검사 대상

모든 차량이 종합검사 대상은 아닙니다. 아래 조건에 해당하는 차량만 의무적으로 받아야 합니다.

  • 운행차 배출가스 정밀검사 지역에 등록된 자동차
  • 특정경유자동차

종합검사 지역

대도시 및 대기환경 규제 지역 대부분이 포함됩니다.

검사 유효기간

차종·용도에 따라 주기가 다릅니다.

  • 승용차(비사업용): 차령 4년 초과 → 2년마다
  • 승용차(사업용): 차령 2년 초과 → 매년
  • 승합·화물차: 차령 오래될수록 주기 짧아짐
  • 대형 사업용 화물차: 차령 2년 초과 → 6개월마다

검사 신청 & 예약 방법

필요 서류:

  • 자동차 등록증
  • 자동차 보험 가입 증명서 (전산 확인 가능 시 생략)

TS 사이버검사소 예약 절차:

  1. TS 사이버 검사소 접속
  2. 차량 조회 (번호+주민번호 앞6자리)
  3. 예약자 정보 입력
  4. 검사 장소·일시 선택
  5. 검사 비용 결제 후 완료 문자 수신

💡 온라인 예약 시 수수료 감면 혜택이 제공됩니다.

검사 유예·연장 신청

부득이한 경우 연장 신청 가능 (도난, 사고, 장기정비, 해외 체류 등). 증빙 서류와 등록증을 제출해야 하며, 자동차민원24 온라인 신청도 가능합니다.

과태료 안내

만료 후 30일 이내: 4만 원
30일 초과: 매 3일마다 2만 원 추가 (최대 60만 원)

💡 자진 납부 시 20% 감경 가능

검사 명령을 따르지 않으면 차량 운행 정지 및 1년 이하 징역·벌금까지 부과될 수 있습니다.

마무리

자동차 종합검사는 법적 의무이자 가족과 타인의 안전을 지키는 필수 절차입니다. 기한을 놓치면 불필요한 과태료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반드시 일정을 확인하세요.

© 2025 자동차 검사 안내 | 출처: 한국교통안전공단 TS